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유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자세히

by 샛별몽 2023. 12. 20.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한 궁금한 사항들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정부지원사업으로 대략 5년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는 적금상품으로 자산형성에 도움을 주는 지원사업입니다. 가입 절차가 단축되어 1인 가구 청년이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을 할 경우 신청 당월에 계좌를 열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매월 70만 원씩 5년 동안 적금하면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내가 원하는 금액만큼 저축할 수 있는 상품으로 정부기여금과 비과세혜택이 있어 일반적금보다 목돈을 모으는데 매력적입니다.

 

청년도약 계좌 지원조건

청년도약 계좌 조건은 대한민국에 거주하며 신규 가입일 기준 만 19세부터 34 세하인 청년을 대상으로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추가인정됩니다.  개인소득요건은 직전과세기간의 총금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로, 비과세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입니다. 금융소득요건으로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대상에 해당하지 않고, 이자소득 및 배당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가입이 제한됩니다. 직전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기 이전에는 전전 연도의 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그리고 국세청의 소득확인증명서를 통해 소득확인이 이루 지는 점 참고 바랍니다. 또한 개인소득 수준이나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납입액의 최대 6%를 정부기여금으로 지원과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청년도약 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 계좌 취급하는 은행의 모바일앱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합니다. 처리절차로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은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SC제일은행에서 서비스신청을 접수합니다.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심사를 진행합니다. 대산자 확정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서비스 지급을 위한 대상자를 결정합니다. 서비스지원은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사후 관리 또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서비스 제공 이후 대상자의 상황 관련 사항을 관리합니다. 전화문의는 서민금융콜센터 1397번입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청년도약계좌 가입 절차 추가 개선을 통해 1인 가구 청년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