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 생기는 이유와 가래가 쌓였을 때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래가 생기는 이유에는 환경 또는 질병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가래가 쌓여 있으며 호흡하기 어렵고 기침 등으로 고생합니다.
1. 가래 생기는 이유
가래는 주로 기도에서 나오는 점액으로 기도는 공기가 폐에 출입하는 거리로 입, 목, 코, 기관지 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점액 중에서는 박테리아나와 싸운 후의 백혈구, 기관지로부터의 찌꺼기와 같은 것이나 대기 중의 먼지, 쓰레기, 흡연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기관지는 하루에 20~100ml 정도의 분비물에 덮여 있고 가래로 만들어져 흘러갑니다. 분비물이 늘어나게 되면 기도에 얽힌 이물질을 배출하면 기침과 함께 가래가 나오는 것입니다. 가래가 생기는 것은 이물질을 체내에 흔하지 않게 하기 위한 방어이기도 합니다.
2. 가래의 종류와 원인 질병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가래는 냄새가 거의 없으며 무색이나 투명에서 흰색으로 약간의 끈적함이 있는 덩어리입니다. 투명에서 흰색의 가래가 나오는 경우는 먼지나 담배 등 외부로부터의 자극이 원인입니다. 또 감염증에 의해서 공기가 가는 길인 기도에 염증이 일어나는 것도 원중 하나입니다. 이경우 감염은 감기와 독감이 많으며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됩니다. 기관지 천식이나 기관지염, 폐렴 등의 호흡기 감염증의 초기에도 색이 없는 가래가 나오는 일도 발생됩니다.
황색이나 녹색의 갈라진 가래가 나올 때는 세균 감염에 의해서 기관지나 폐 등의 호흡기로 강한 염증이 발생합니다. 기관지염, 폐렴등의 호흡기 감염증에서는 고열이나 식욕부진등의 증상이 따릅니다.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고 있는 만성 폐색성 폐질환, 기관지 확장증, 확산성 범세 기관지염 등에서는 발열 등 없어도 황색이나 녹색의 가래가 나오게 됩니다. 또한 부비동염에서도 노란색이나 녹색의 가래가 나옵니다. 또한 폐결핵이나 폐비결핵성 항산균증, 폐암에서도 갈라진 가래가 나오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콧속, 입안, 기관지, 목, 폐 등 몸의 어딘가에서 출혈로 인해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는 붉은 가래가 나옵니다. 고름과 혈액이 섞이면 갈색 가래가 됩니다. 또한 폐렴구균성 폐렴의 경우에도 철 녹과 같은 갈색 가래가 나올 수 있습니다. 감기 등에 의해 기침의 지나치게 목이 끊어져 있는 정도라면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중대한 병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분홍색 거품 모양의 가래가 나오면 심부전의 의심도 있기 때문에 의료기관에 빠르게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래는 폐의 분비물이나 호흡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이 기도의 점액과 같이 나온 것입니다. 기도 안의 촉촉한 점액은 면역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에서 들어온 것을 잡아 건강한 몸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이물질을 몸속에 넣지 않도록 해서 폐 안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있는 것입니다. 기도는 항상 점액이 나오고 있으며 건강한 사람이라면 목까지 흐르는 분비액은 소량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삼켜집니다. 그래서 점액이 가래로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3. 생활 속에서 조심해야 할 일
가래는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공기가 나쁜 곳에서 생활하거나 차의 배기 가스나 대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등을 통해 흡입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외출할 때 마스크를 하고 외출을 삼가시기 바랍니다.
또한 흡연자는 담배에 니코틴이나 수스 등 유해한 물질이 많이 포함된 있어서 가능한 금연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분섭취를 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수분을 섭취하면 가래가 부드러워져서 나오게 됩니다. 특히 고령자라면 딱딱한 가래가 질식에도 연결되기 때문에 탈수 증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수분은 자주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아이의 경우는 콧물에서 나오는 것인지 폐나 호흡기로부터의 순수한 가래인지의 판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가래가 오래 지속된다면 빠른 병원방문으로 진찰을 받는 게 우선입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안산선 노선도 개통시기 (0) | 2024.01.01 |
---|---|
8호선 연장 노선도 개통시기 (1) | 2023.12.31 |
겨울철 건강관리 및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23.12.27 |
기후동행카드 경기도 인천 포함 여부 및 신청방법 알아보기 (1) | 2023.12.23 |
GTX A노선 개통시기, 소요시간, 이용요금 알아보기 (0) | 202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