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한 교통카드인 기후동행카드가 경기도, 인천도 포함되는지 여부와 신청방법에 대한 궁금한 사항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기후동행카드란?
개인 성향에 따른 옵션 요금제가 월 62,000원권과 65,000원권 총 2종으로 나눠 출시하는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2024년 1월 27일부터 시행합니다.
먼저, 시범사업으로 대략 4개월 진행 후 7월부터는 전면 진행을 합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에 많이 줄어든 대중교통수단 분담률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에게 가계 부담을 줄여주는 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2.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는 시행하기 5일 전인 1월 23일부터 실물카드 판매와 모바일카드 다운로드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모바일 카드의 경우 안드로이드 운영체계 스마트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ios 기반인 스마트폰은 모바일 교통 카드 기능이 탑재되지 않아서 실물 카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상 서울시에 거주하고 19세 이상의 시민이면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하고 선착순으로 순서대로 발급됩니다. 개인이 1장만 구매하고, 5개월간 유효하게 됩니다.
모바일 카드는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받아서 월 이용 요금을 계좌 이체하고, 5일 이내에 사용일을 정한 후에 사용하면 됩니다. 실물 카드는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전실에서 현금 3,000원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무인 충전기에서 현금으로 충전한 후에 5일 이내에 사용일을 지정하여 이용하면 됩니다.
3. 기후동행카드 사용방법
서울지역 내 지하철 1~9호선, 경춘선, 경의중앙선, 신림선, 우이신설선, 수인분당선, 공항철도(서울역에서 김포공항역까지) 모든 지하철에서 무제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신분당선은 요금 체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울 구간 내라도 이용이 제한되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 기후동행카드 경기도, 인천 포함 여부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지역에서 출발해서 서울에 하차하는 경우에 적용되고, 경기도, 인천 시민에게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경기도, 인천 등 타 시도 면허 버스와 요금 체계가 다른 광역버스와 심야버스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울권 대중교통뿐만 아니라, 2024년부터는 인천시, 김포시 등 서울권역 출퇴근, 소비, 통학 등 인근 생활권 지자체에도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 서울을 넘어 수도권 대중교통 편의를 높일 것으로 보여 향후 기대해 볼만합니다.
5. 마무리
교통 소외지역과 사각지대 지역에서 이용이 많은 마을버스까지 무제한 이용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운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단, 서울을 비롯해서 수도권 시민 모두에게 교통 편익을 제공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8호선 연장 노선도 개통시기 (1) | 2023.12.31 |
---|---|
가래 생기는 이유 (0) | 2023.12.29 |
겨울철 건강관리 및 주의해야 할 사항 (0) | 2023.12.27 |
GTX A노선 개통시기, 소요시간, 이용요금 알아보기 (0) | 2023.12.22 |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방법 자세히 (1) | 2023.12.20 |